summaryrefslogtreecommitdiff
path: root/docs/howto/ko/docbook/howto-interpretation.docbook
diff options
context:
space:
mode:
Diffstat (limited to 'docs/howto/ko/docbook/howto-interpretation.docbook')
-rw-r--r--docs/howto/ko/docbook/howto-interpretation.docbook318
1 files changed, 129 insertions, 189 deletions
diff --git a/docs/howto/ko/docbook/howto-interpretation.docbook b/docs/howto/ko/docbook/howto-interpretation.docbook
index 3d61624..e30c088 100644
--- a/docs/howto/ko/docbook/howto-interpretation.docbook
+++ b/docs/howto/ko/docbook/howto-interpretation.docbook
@@ -1,273 +1,213 @@
<chapter id="h2-rules">
- <title>성경 해석의 법칙 (Hermeneutics)</title>
- <para>We already learned about the "3 Cs": content, context, cross-reference. We
-want to expand that now by delving briefly into biblical hermeneutics, whose
-goal is to discover the meaning intended by the original author (and
-Author!). While many applications of a passage are valid, only one
-interpretation is valid. The scripture itself says this by saying that no
-scripture is of any private interpretation (2 Pe.1:20 KJV <quote>Knowing
-this first, that no prophesy of scripture is of any private
-interpretation.</quote>). Certain rules are helps toward discovering the
-correct meaning; by ignoring these rules people have brought much trouble on
-themselves and their followers. 2 Pe.3:16 <quote>...in which are some things
-hard to understand, which the untaught and unstable distort, as they do also
-the rest of the Scriptures, to their own destruction.</quote></para>
- <para>How do we go about discovering the intended meaning of a passage? Let's say
-your attention has been drawn to a particular verse whose meaning is not
-clear to you. How do you study it out? Keep these rules in mind:</para>
+ <title>성경 해석의 규칙</title>
+ <para>우리는 바른 해석의 기본으로 "3C"다루었습니다: 내용(Content), 문맥(Context),
+상호참조(Cross-reference). 우리는 이제 이것을 성서 해석학을 간단히 다루는 것으로 확장하고자 합니다. 성서 해석학의 목적은
+원저자(와 하나님)가 의도하는 의미를 발견하는 것입니다. 한 구절에 대하여 유효한 많은 적용이 가능하지만, 해석은 단 하나만이
+유효합니다. 성경 자체에서 개인적 해석이 가능한 말씀은 없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. (벧후 1:20 <emphasis>"먼저 알 것은
+경의 모든 예언은 사사로이 풀 것이 아니니"</emphasis>) 특정 규칙들은 정확한 의미를 찾는 쪽으로 도움을 줍니다. 반면에 이러한
+규칙을 무시한 사람들은 스스로 뿐만아니라 그들을 따르는 사람들에게까지 문제를 가져왔습니다. 벧후 3:16 <emphasis>"...그
+중에 알기 어려운 것이 더러 있으니 무식한 자들과 굳세지 못한 자들이 다른 성경과 같이 그것도 억지로 풀다가 스스로 멸망에
+이르느니라."</emphasis></para>
+ <para>어떻게하면 원저자가 의도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까요? 여러분이 의미가 명쾌하지 않은 구절을 만났다고 가정해 보세요. 여러분은 그것을
+어떻게 푸시겠습니까? 다음의 규칙들을 기억하세요:</para>
<section id="h2-rules-exact">
- <title>규칙 1 - 단어의 정확한 뜻에 의거해서 해석하라.</title>
- <para>The more precise we can be with the exact, original meaning of the words the
-better our interpretation will be. Try to find the exact meaning of the key
-words by following these steps:</para>
+ <title>규칙 1 -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따라서 해석.</title>
+ <para>우리가 단어의 정확성과 원래의 의미에 정밀하게 다가설수록 우리느 좀더 나은 해석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다음의 단계를 따라서 핵심
+단어들의 정확한 의미를 찾아보세요:</para>
<orderedlist>
<listitem>
<formalpara>
- <title>Definition</title>
- <para>Look up the definition in a Greek or Hebrew dictionary. For verbs, the verb
-tense is also crucial.</para>
+ <title>정의</title>
+ <para>헬라어나 히브리어 사전의 정의를 찾아보세요. 동사의 경우, 시제도 중요합니다.</para>
</formalpara>
</listitem>
<listitem>
<formalpara>
- <title>겹참조(Cross-reference)</title>
- <para>Compare scripture with scripture. Seeing how the same Greek or Hebrew word
-(not the English word) is used in scripture may clarify or throw new light
-on the definition. How does the same author use this word elsewhere? Other
-authors? Your reference tools may give you uses of the word in non-biblical
-documents, as well. Why do we have to go to the original languages; why
-isn't the English word good enough? <emphasis>Because more than one Greek
-word may be translated into the same English word, and the Greek words may
-have different shades of meaning.</emphasis></para>
+ <title>상호참조(Cross-reference)</title>
+ <para>말씀과 말씀을 비교해 보세요. 동일한 헬라어 단어나 히브리어 단어가 성경에서 어떻게 쓰였는지 보는 것은 정의를 명쾌하게 하거나 새로운
+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. 같은 저자가 이 단어를 다른곳에는 어떻게 사용했는지? 다른 저자는 이 단어를 어떻게 사용했는지? 물론 여러분이
+참고하는 도구들은 단어의 비성경적 문서에서의 사용 사례를 줄 수도 있습니다. 왜 우리는 헬라어나 히브리어를 찾아야만 할까요? 한글이나
+영어 단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걸까요? <emphasis>그 이유는 하나 이상의 헬라어 단어들이 하나의 한글 단어로 번역 될 수 있고
+헬라어 단어들은 의미의 미묘한 차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</emphasis></para>
</formalpara>
</listitem>
</orderedlist>
<section id="h2-rules-exact-crossref-ex1a">
<title>예 1A</title>
- <para>Jn.20:17 <emphasis>"Touch me not"</emphasis> (KJV) sounds harsh, doesn't it?
-Sounds like Jesus doesn't want to be touched now that He is risen, that He
-is too holy or something. But that doesn't seem right, so let's look it up
-in Spiros Zodhiates' <emphasis>The Complete Word Study New
-Testament</emphasis> (AMG Publishers, 1991).</para>
- <para>Definition: Turning to John 20:17, above the word "Touch" we see "pim680."
-The letters give us a code for the part of speech, and the number refers to
-Strong's dictionary reference. Let's look up the definition
-(p. 879). "680. Haptomai; from hapto (681), touch. Refers to such handling
-of an object as to exert a modifying influence upon it... Distinguished from
-pselaphao (5584), which actually only means to touch the surface of
-something. " Now look up "pim." The grammar codes in Zodhiates come right
-after Revelation; on p. 849 we see that pim stands for "present imperative
-active (80)". On p.857, "Present Imperative. In the active voice, it may
-indicate a command to do something in the future which involves continuous
-or repeated action or, when it is negated, a command to stop doing
-something. " This is a negative command, so it is to stop doing something
-that is already occurring. So, what have we found?</para>
+ <para>요 20:17 <emphasis>"나를 만지지 말라"</emphasis> 냉엄하게 들립니다. 그렇지 않나요? 예수께서 부활 하신것, 너무
+거룩한것, 또는 뭔가를 지금은 손대지 말았으면 하시는 것으로 들립니다. 그러나, 그런 생각은 맞지 않는것 같습니다. 그래서, 스피로스
+조디에이츠의 <emphasis>The Complete Word Study New Testament</emphasis> (AMG
+Publishers, 1991)에서 찾아보겠습니다.</para>
+ <para>정의: 요 20:17로 가서, "만지지" 단어 위를 보면 "pim680"를 볼 수 있습니다.스토롱 사전을 참조할 수 있는
+숫자입니다. 정의를 살펴보죠."680. 합토마이; 합토에서 유래(681), 만지다. 어떤 대상에 영향력을 가하려는 의도의 만짐을
+의미... 뭔가의 표면을 만지는 것만을 의미하는 프셉랍하오(5584)와 구별됩니다." 이제 "pim."을 살펴보죠. 요한계시록 바로
+다음에 있는 조디에이츠의 문법 코드입니다; 849페이지에서 pim이 "present imperative active 현재 명령형
+능동태(80)"임을 알수 있습니다. 857페이지에서는 "현재 명령법. 능동태에서는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을 수반하는 뭔가를 미래에
+수행하라는 명령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 부정문은 뭔가를 수행하기를 멈추라는 명령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" 이 구절은 부정 명령문이므로
+이미 일어나고 있는 뭔가를 멈추라는 것입니다. 무엇을 발견할 수 있으십니까?</para>
<para>
- <emphasis>Mary is already clinging to Jesus, and he is saying to stop
-holding him!</emphasis>
+ <emphasis>마리아는 이미 예수님께 매달려 있었고 예수님은 잡는 것을 멈추라고 말씀하고 계십니다!</emphasis>
</para>
</section>
<section id="h2-rules-exact-crossref-ex1b">
- <title>Example 1B</title>
- <para>In James 5:14, <emphasis>Elders are told to pray and anoint someone who is
-sick</emphasis>. What is this anointing?</para>
- <para>Definition of aleipho (218) - "to oil" (Strong's); but we also have another
-Greek word translated "anoint", chrio (5548) - "to smear or rub with oil,
-i.e. to consecrate to an office or religious service" (Strong's). Since it's
-a verb, consider the tense also, "apta" aorist participle active. "The
-aorist participle expresses simple action, as opposed to continuous
-action...When its relationship to the main verb is temporal, it usually
-signifies action prior to that of the main verb." (Zodhiates p.851)</para>
+ <title>예 1B</title>
+ <para>야고보서 5:14 <emphasis>병든자가 있느냐?..교회의 장로들을 청할 것이요. 그들은 주의 이름으로 기름을 바르며 위하여
+기도할지니라</emphasis>에서 기름바름은 무엇일까?</para>
+ <para>알레이포의 정의 (218) - "기름을 바르는것" (스트롱 사전); 그러나 "기름바름"으로 번역되는 또다른 헬라어 단어가 있는데,
+크리오(5548)입니다 - "기름을 바르거나 문지르는 것, 즉 사무실이나 종교 행사에 봉헌하는 것" (스트롱 사전). 이 단어는 동사이기
+때문에 시제도 살펴야 합니다, "apta" aorist participle active 부정과거 능동 분사. "부정과거 분사는 연속적인
+행위가 아닌 단순 행위를 표현합니다...핵심 동사와의 관계가 일시적인 경우에는 통상 핵심 동사의 이전 행위를 의미합니다." (조디에이츠
+p.851)</para>
<itemizedlist>
<listitem>
- <para>Cross-references for aleipho: <orderedlist>
+ <para>알레이포에 대한 관주들: <orderedlist>
<listitem>
- <para>Mt.6:17 But you, when you fast, anoint your head</para>
+ <para>마 6:17 너는 금식할 때에 머리에 기름을 바르고 얼굴을 씻으라</para>
</listitem>
<listitem>
- <para>Mk.16:1 [the women] brought spices that they might come and anoint Him.</para>
+ <para>막 16:1 [여자들이] 가서 예수께 바르기 위하여 향품을 사다 두었다가</para>
</listitem>
<listitem>
- <para>Mk.6:13 And they were...anointing with oil many sick people and healing
-them.</para>
+ <para>막 6:13 많은 귀신을 쫓아내며 많은 병인에게 기름을 발라 고치더라</para>
</listitem>
<listitem>
- <para>Lk.7:38 [...] kissing His feet and anointing them with the perfume</para>
+ <para>눅 7:38 [...] 그 발에 입맞추고 향유를 부으니</para>
</listitem>
<listitem>
- <para>Jn.12:3 Mary [...] anointed the feet of Jesus, and wiped them with her hair</para>
+ <para>요 12:3 [...] 예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털로 그의 발을 씻으니 </para>
</listitem>
</orderedlist></para>
</listitem>
<listitem>
- <para>Cross-references of chrio: <orderedlist>
+ <para>크리오에 대한 관주들: <orderedlist>
<listitem>
- <para>Lk.4:18 <quote>The Spirit of the Lord is upon me, because He has anointed me
-to preach [...]</quote></para>
+ <para>눅 4:18 <quote>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
+[...]</quote></para>
</listitem>
<listitem>
- <para>Acts 4:27 Jesus, whom Thou hast anointed</para>
+ <para>행 4:27 하나님의 기름부으신 거룩한 종 예수를 거스려</para>
</listitem>
<listitem>
- <para>Acts 10:38 God anointed Jesus with the Holy Ghost and power</para>
+ <para>행 10:38 하나님이 나사렛 예수에게 성령과 능력을 기름붓듯 하셨으매</para>
</listitem>
<listitem>
- <para>2 Cor.1:21 Now He who...anointed us is God</para>
+ <para>고후 1:21 ... 우리에게 기름을 부으신 이는 하나님이시니</para>
</listitem>
</orderedlist></para>
</listitem>
</itemizedlist>
- <para>So what's the difference between aleipho and chrio? Look back over the
-cross-references and the definitions, and sum up the difference:
-<emphasis>"aleipho" is a practical use of oil and "chrio" is a
-spiritual</emphasis></para>
- <para>As an illustration (although the word is not used) of the practical use of
-oil at that time, when the good Samaritan cared for the man beat up by
-robbers he poured oil and wine in the wound. So oil had a medicinal use in
-Jesus' day.</para>
- <para>Now let's apply what we just learned by this word study to James 5:14
-<emphasis>"Is any among you sick? Let him call for the elders of the church;
-and let them pray over him, anointing him with oil in the name of the
-Lord."</emphasis>Is "anointing" spiritual or practical? Practical!</para>
- <para>And the tense in Greek, the aorist participle, would be better translated
-"having anointed," so the order is the anointing first, then the prayer ("in
-the name of the Lord"refers to the prayer, not the anointing). James 5 is
-saying that the elders should give the sick person medicine and pray for him
-in the name of the Lord. Doesn't that express a beautiful balance of
-practical and spiritual in our God!</para>
+ <para>그렇다면 알레이포와 크리오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? 관주와 정의를 다시 보고 차이점을 정리해 보면: <emphasis>"알레이포"는 기름의
+실제적인 사용이고 "크리오"는 영적인 것입니다.</emphasis></para>
+ <para>그 당시의 기름의 실제적인 사용의 예화로(단어가 사용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), 선한 사마리아인은 강도를 당한 사람을 돌보아 줄때 그의
+상처에 기름과 포도주를 부었습니다. 예수님 당시에는 기름을 치료 용도로 사용했던 것입니다.</para>
+ <para>이제 단어 공부를 통해서 배운것을 야고보서 5:14에 적용해 보겠습니다. <emphasis>"너희 중에 병든 자가 있느냐 저는 교회의
+장로들을 청할 것이요 그들은 주의 이름으로 기름을 바르며 위하여 기도할지니라"</emphasis> "기름을 바르며"는 영적인 것일까요
+아니면 실제적인 것일까요? 실제적인 것입니다!</para>
+ <para>그리고 헬라어 시제인 부정 과거 분사는 "기름부음 받은 것"이 더 나은 번역일 수 있습니다, 그래서 순서는 기름부음이 먼저고 그 다음이
+기도입니다 ("주의 이름으로"는 기름 부음이 아니라 기도를 가리킵니다). 야고보서 5장은 장로들이 아픈 이들에게 약을 먼저 주고 주의
+이름으로 그들을 위해서 기도할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. 우리 하나님 안에서 실제적인 것과 영적인 것의 아름다운 균형을 표현하는 것이
+아닙니다!</para>
</section>
</section>
<section id="h2-rules-context">
- <title>규칙 2 - 성경적인 문맥에 의거해서 해석하라</title>
- <para>Interpret scripture in harmony with other scripture. What do the verses on
-each side say? What is the theme of the chapter? The book? Does your
-interpretation fit with these? If not, it is flawed. Usually, the context
-supplies what we need to correctly interpret the passage. Context is key. If
-confusion remains as to the meaning after we have interpreted the text
-within its context, we have to look further.</para>
+ <title>규칙 2 - 성경적 문맥 안에서 해석</title>
+ <para>다른 구절과 어울리는 해석이 되어야 합니다. 여러 구절에서 각각 말하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? 장의 주제는 무엇이고 권의 주제는
+무엇입니까? 여러분의 해석이 이런것들에 부합합니까? 그렇지 않다면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. 일반적으로 문맥은 우리가 구절을 올바르게
+해석하는데 필요한 것들을 제공해 줍니다. 문맥이 바로 열쇠입니다. 우리가 문맥 안에서 구절을 해석 했음에도 불구하고 애매한 부분이 남아
+있다면, 좀더 보아야 합니다</para>
<section id="h2-rules-context-ex2a">
<title>예 2A</title>
- <para>In a previous lesson we considered Jn.3:5 <emphasis>"born of water and the
-Spirit."</emphasis>In context, what is the water under discussion here?</para>
- <para>Water baptism is not under discussion here, which would be a big switch from
-the subject being discussed by Jesus and Nicodemus. Watch out for a sudden
-change of topic, it may be a clue that your interpretation has been
-derailed! The water is the amniotic fluid, "born of water" = natural birth.</para>
+ <para>우리는 앞에서 요 3:5 <emphasis>"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"</emphasis>을 살펴보았습니다. 문맥상으로 여기에서의
+물은 무엇을 의미합니까?</para>
+ <para>여기에서는 물 세례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, 물 세례로 이해하면 예수님과 니고데모 간의 대화 주제를 확 뒤 바꾸는 것이 되고
+맙니다. 화제의 감작스런 변화를 주의하세요, 그것은 여러분의 해석이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는 단서 일 수 있습니다! 물은 양수를
+지칭합니다, "물로 태어남"은 자연 출생을 의미합니다.</para>
</section>
<section id="h2-rules-context-ex2b">
<title>예 2B</title>
- <para>1 Cor.14:34 <quote>Let the women keep silent in the churches</quote>has to
-be taken within the biblical context of 1 Cor.11:5 <quote>every woman [...]
-while praying or prophesying [...]</quote></para>
+ <para>고전 14:34 <quote>여자는 교회에서 잠잠하라</quote>는 고전 11:5 <quote>무릇 여자로서 [...] 기도나 예언을
+하는 자는 [...]</quote>의 문맥안에서 받아 들여야 합니다.</para>
</section>
<section id="h2-rules-context-ex2c">
<title>예 2C</title>
- <para>Acts 2:38 <quote>And Peter said to them, "Repent, and let each of you be
-baptized in the name of Jesus Christ for the forgiveness of your sins
-[...]"</quote>. Is this teaching baptismal regeneration? If this was the
-only verse of scripture we had, we would have to conclude that. But in the
-light of the clear teaching elsewhere that regeneration happens by faith in
-Christ, we have to interpret it otherwise. Peter is urging baptism as a way
-for his hearers to respond to the gospel. If baptism were the pathway to
-being born again, how could Paul write 1 Cor.1:17 <emphasis>"For Christ did
-not send me to baptize, but to preach the gospel"</emphasis>?</para>
+ <para>사도행전 2:38 <quote>베드로가 가로되, "너희가 회개하여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 그리하면
+성령을 선물로 받으리니 [...]"</quote>. 이것은 세례에 의한 거듭남을 가르치고 있는 것일까요? 만일 이것이 우리가 접할 수
+있는 유일한 구절이라면 그런 결론에 이를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. 그러나 다른 구절에 있는 그리스도를 믿음에 의한 거듭남에 대한 분명한
+가르침에 비추어 본다면, 우리는 다르게 해석 해야만 합니다. 베드로는 청중들이 복음에 반응하는 한가지 방법으로 세례를 촉구하고
+있습니다. 만약 세례가 거듭남을 위한 길이었다면 베드로는 어떻게 고전 1:17 <emphasis>"그리스도께서 나를 보내심은 세례를 주게
+하려 하심이 아니요 오직 복음을 전케 하려 하심이니"</emphasis> 라고 쓸 수 있었을 까요?</para>
</section>
</section>
<section id="h2-rules-hcontest">
- <title>규칙 3 - 역사와 문화적인 배경의 문맥에서 해석하라</title>
- <para>At first we are not asking <quote>What does it mean to me?</quote>but
-<quote>What did it mean to the original readers?</quote>; later we can ask,
-<quote>What does it mean to me?</quote>. We have to take into account the
-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author and the recipients.</para>
+ <title>규칙 3 - 역사와 문화적인 문맥안에서 해석</title>
+ <para>먼저 우리는 <quote>그것은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?</quote>라고 묻고 있지 않습니다. 대신 <quote>그것은 원래의
+읽는이들에게 어떤 의미였는가?</quote>라고 묻습니다; 나중에는 <quote>그것은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?</quote>라고 물을 수
+있습니다. 우리는 저자와 읽는이들의 역사적,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만 합니다.</para>
<section id="h2-rules-hcontest-ex3a">
<title>예 3A</title>
<para>
- <quote>3 days &amp; 3 nights</quote>(Mt.12:40) have led some to come up with
-a "Wednesday crucifixion theory," esp. the cult of Armstrongism. How could
-Jesus die on Friday afternoon and rise Sunday morning yet "be raised on the
-third day" (Mt.16:21)? Exact meanings of "three" or "days" won't help
-explain the apparent contradiction.</para>
- <para>We need an historical tidbit: Jews counted any part of a day as a full day,
-as we would count buckets of water (if there were six and one-half buckets
-of water, we would say there were 7 buckets of water even if one was only
-partly full). So to the Jewish mind, any part of a day counted as a full
-day, and days started at 6 p.m. and ended at 6 p.m. Friday from 3 p.m. to 6
-p.m. = day 1. Friday 6 p.m. to Saturday 6 p.m. = day 2. Saturday 6 p.m. to
-Sunday 5 or so a.m. = day 3. Interpreting within the cultural context keeps
-us out of trouble.</para>
+ <quote>밤낮 사흘을</quote>(마 12:40)은 특히 암스트롱주의자들이 이야기하는 "수요일 십자가 사건"을 떠올리게
+합니다. 어떻게 예수님은 금요일 오후에 죽으셨다가 "제 삼일에 살아나야"(마 16:21)대로 일요일 아침에 부활할수 있었을까요? "셋"
+또는 "날들"의 정확한 의미는 명백한 모순을 설명하는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.</para>
+ <para>역사 이야기를 하나 나누겠습니다: 유대인들은 우리가 물양동이의 개수를 세는 것처럼(여섯개의 가득찬 물양동이와 반만 채운 양동이 한개를
+일곱개라 세는 것처럼) 하루의 일부라도 하루 전체인양 날 수를 세었습니다. 유대인 방식으로는 하루의 일부라도 온전한 하루로 계산하고 각
+날은 오후 6시에서 시작해서 오후 6시에 끝나므로, 금요일 오후 3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해서 1일, 금요일 오후 6시부터 토요일 오후
+6시까지 해서 2일, 토요일 오후 6시부터 일요일 오전 5시정도까지 해서 3일입니다. 문화적 문맥 안에서의 해석은 우리가 곤란에 빠지지
+않도록 해줍니다.</para>
</section>
<section id="h2-rules-hcontest-ex3b">
<title>예 3B</title>
- <para>Gen.15:7-21. The historical context is that cutting animals in two and then
-walking between the pieces was the normal way of entering a contract in
-Abraham's day. Both parties walked between, taking the pledge that
-dismemberment would happen to them if they didn't live up to their part of
-the contract. But in this case only God goes thru, making it a unilateral
-covenant.</para>
+ <para>창 15:7-21. 역사적 문맥에서 보면 두 조각의 쪼갠 고기 사이로 지나는 것은 아브라함 당시에는 계약을 진행하는 일반적인 방법
+이었습니다.양쪽 당사자들은 그들의 계약을 이행하지 않으면 파멸이 그들에게 일어 날 것이라는 맹세와 함께 쪼갠 고기 사이를
+걸었습니다.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하나님 만이 지나셔서 일방적인 언약을 만드셨습니다.</para>
</section>
</section>
<section id="h2-rules-normal">
- <title>규칙 4 - 언어에서 단어의 일반적인 사용에 따라 해석하라</title>
- <para>Let literal language be literal and figurative language be figurative. And
-watch out for idioms, which have special meanings.</para>
+ <title>규칙 4 - 단어의 일반적인 언어 사용법을 따라 해석</title>
+ <para>문자적인 언어는 문자적으로 비유적인 언어는 비유적으로 두세요. 그리고 특별한 의미를 갖는 관용구나 방언에 주의하세요.</para>
<section id="h2-rules-normal-ex4a">
<title>예 4A</title>
<para>
- <quote>evil eye</quote>in Mt.6:23.</para>
- <para>Rule 1, definition of "evil" and "eye" - no help here. Rule 2, context:
-seems to confuse us even more. It doesn't seem to fit with what goes before
-and after! This should tip us off that we aren't understanding it rightly!!</para>
- <para>What we have here is a Hebrew idiom, <quote>evil eye</quote>. Let's look up
-other uses of this idiom: Mt.20:15 " <emphasis>Is it not lawful for me to do
-what I wish with what is my own? Or is your eye envious [lit."evil"] because
-I am generous [lit. "good"]?</emphasis>" We find that having an "evil eye"
-is a Hebrew idiom for being stingy or envious. Now go back to Mt.6 and
-notice how this understanding ties in so perfectly to the context.</para>
+ 마 6:23의 <quote>악한 눈</quote>.</para>
+ <para>규칙 1, "악한"과 "눈"의 정의 - 여기서는 별 도움이 안됩니다. 규칙 2, 문맥: 우리를 더욱 혼란스럽게 하는 것처럼
+보입니다. 전후 문맥과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! 이것은 우리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알려줄 것입니다!!</para>
+ <para>여기서 우리가 대하고 있는 것은 히브리어 관용구, <quote>악한 눈</quote> 입니다. 이 관용구를 다른 곳에서는 어떻게
+사용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: 마 20:15 " <emphasis>내 것을 가지고 내 뜻대로 할 것이 아니냐 내가 선하므로 네가 악하게
+보느냐? </emphasis>" "악한 눈"을 갖는 것은 인색하거나 부러워하는 것에 대한 히브리어 관용구임을 알수 있습니다. 마태복음
+6장으로 돌아가서 이런 이해가 어떻게 문맥과 완전히 들어 맞는지 확인해 보세요.</para>
</section>
<section id="h2-rules-normal-ex4b">
<title>예 4B</title>
- <para>Is.59:1 <quote>The Lord's hand is not short;</quote></para>
- <para>Deut.33:27 <quote>Underneath are the everlasting arms.</quote></para>
- <para>References to body parts of God are used by Latter-Day Saints to prove that
-God was once a man just as we are. Once they convince people of that, they
-go on to teach that we can become God just like He is! At a lecture he was
-giving, a group of Mormon elders challenged Walter Martin (author of
-<emphasis>Kingdom of the Cults</emphasis>) with an enumeration of verses
-like these. Dr. Martin then asked the Mormons to read one more scripture:
-Ps.91:4 <quote>He will cover you with His feathers; And under His wings
-shalt thou trust</quote>. W.M. said, <quote>By the same rules of
-interpretation that you just proved God to be a man, you just proved that He
-is a bird</quote>. The Mormons had to laugh as they realised the
-ridiculousness of their position.</para>
+ <para>이 59:1 <quote>여호와의 손이 짧지 않다;</quote></para>
+ <para>신 33:27 <quote>그 영원하신 팔이 네 아래 있도다.</quote></para>
+ <para>말일성도들은 하나님도 예전에는 우리와 같은 사람이었음을 증명하기 위해 하나님의 신체 부위에 대한 언급을 사용합니다. 그들은 사람들에게
+이것을 확신시킨 다음에는 계속해서 우리도 하나님 처럼 될수 있다고 가르칩니다! 한 강연에서 몰몬교의 지도자들은 이런 구절들을 나열하는
+것으로 월터 마틴(<emphasis>이단들의 왕국</emphasis>의 저자)을 도전했습니다. 그에 대하여 마틴 박사는 몰몬교도들에게
+구절을 하나 더 읽을 것을 권했습니다: 시 91:4 <quote>저가 너를 그 깃으로 덮으시리니 네가 그 날개 아래 피하리로다 그의
+진실함은 방패와 손 방패가 되나니</quote>. 월터 마틴은 <quote>하나님이 사람이었음을 증명하는 여러분의 방법을 따른다면
+하나님은 새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입니다</quote>라고 했습니다. 몰몬교도들은 자신들이 우스꽝스러운 처지에 놓인 것에 웃어야만
+했습니다.</para>
</section>
</section>
<section id="h2-rules-parables">
- <title>규칙 5 - Understand the purpose of parabl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a
-parable and an allegory</title>
- <para>An allegory is: <emphasis>A story where each element has a
-meaning.</emphasis></para>
- <para>Every parable is an allegory, 참인가 거짓인가?</para>
- <para>Some parables are allegories, for instance, the parable of the sower is an
-allegory: the seed is the word of God, the thorns are worries and greed,
-etc. But most parables are not allegories but simply stories to illustrate
-one point. It's dangerous to get our doctrine from parables; they can be
-twisted to say all sorts of things. We need to get our doctrine from clear
-scriptures that lay it out; then if a parable illustrates that, fine.</para>
+ <title>규칙 5 - 비유의 목적과 비유와 풍유의 차이에 대한 이해</title>
+ <para>풍유는: <emphasis>각 요소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.</emphasis></para>
+ <para>모든 비유는 풍유다. 이것은 참일까 거짓일까?</para>
+ <para>몇몇 비유들은 풍유입니다, 예를 들어, 씨 뿌리는 비유는 풍유입니다: 씨앗은 하나님의 말씀이고, 가시덤불은 걱정과 욕심을 의미하는 등과
+같습니다. 그러나 대부분의 비유는 풍유가 아니라 한 주제를 설명하기 위한 단순한 이야기입니다. 우리의 깨달음을 비유에서 취하는 것은
+위험합니다; 비유를 기반으로 모든 것을 말하려 한다면 왜곡에 빠질 수 있습니다. 우리의 깨달음은 분명한 구절에서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;
+비유가 그 구절을 설명한다면 좋겠지요.</para>
<section id="h2-rules-parables-ex5a">
<title>예 5A</title>
- <para>The parable of the widow with the unrighteous judge in Lk.18:1-8. This story
-illustrates one lesson: boldness in prayer. If we draw it into an allegory,
-what do we have?</para>
- <para>All sorts of violence happens to the meanings: God is reluctant to protect
-the rights of widows, prayer "bothers" Him, etc.</para>
+ <para>눅 18:1-8 한 과부와 불의한 재판관의 비유. 이 이야기는 기도의 담대함을 설명합니다. 이것을 풍유로 풀어낸다면 과연 우리는 무엇을
+얻게 될까요?</para>
+ <para>모든 종류의 갈등에 의미를 부여합니다: 하나님은 과부의 권리 보호에 주저하십니다, 기도는 하나님을 "귀챦게" 합니다, 기타 등등.</para>
</section>
<section id="h2-rules-parables-ex5b">
<title>예 5B</title>
- <para>The parable of the unrighteous steward in Lk.16:1-9. What is the point of
-the parable? Is it an allegory?</para>
- <para>The steward is commended for only one thing, his shrewdness in using what he
-had to prepare for a time when he wouldn't have it. But he is not commended
-for his unethical behavior in cheating his master.</para>
+ <para>눅 16:1-9 옳지 않은 청지기 비유. 비유의 핵심 의도는 무엇입니까? 이것은 풍유입니까?</para>
+ <para>청지기는 직분이 없을 때를 대비하여 자신의 직분을 사용한 단 한가지에 대해서만 칭찬을 받았습니다. 그러나 그의 주인을 속인 비 윤리적인
+행위에 대해서는 칭찬받지 않았습니다.</para>
</section>
</section>
</chapter>